인공지능 선도혁신연구센터(2020. 6. ~ )
머신러닝은 다양한 수학적 도구를 활용하는 기술입니다. AI이론연구그룹(STAG)에서는 수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인공지능 전문가들과 긴밀하게 교류하며 수학을 바탕으로 머신러닝을 연구합니다.
인간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진정한 지능’의 인공적 구현을 위해, 뇌와 생물체의 인지기능 발휘와 행동 기전을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을 연구합니다.
AI 확산을 위해 모두를 위한 AI 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전공별, 대상별 격차를 분석하여 모두에게 최적화된 AI 교육을 수행하기 위하여 학제를 초월한 연구를 수행합니다.
신약을 개발하는 긴 과정에서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검증하는 등의 과정에서 AI의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활용해 신약 개발 과정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전 지구적 고령화와 보건안보 시대에 초학제적 협업을 통해 모두를 위한 건강증진, 돌봄보장, 웰빙향상을 촉진하는 인공지능 기반-중개-평가-정책 연구를 수행합니다.
언어학자와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모여 우리가 어떤 언어 AI를 어떻게 개발해야 할지 토론하여 언어 AI 백서를 만들고, 가장 시급하게 연구하고 개발해야 할 언어 AI 연구주제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심층 연구를 준비합니다.
AI의 정보처리 과정은 은닉되는 속성이 있고 인간은 그저 짐작할 수 밖에 없습니다. AI가 기계를 위한 기술이 아닌 인간을 위한 기술이 될 수 있도록 인간의 관점에서 연구합니다.
As the modern, fast-paced machine learning theory tends to rely on a broad range of mathematical tools, there is a need for a communication nexus supporting leading, collaborative theoretical machine learning research of SNU's theory-oriented members. To this end, the SNU Theoretical AI research Group (STAG) supports regular and intimate interaction among its members who bring a broad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ordinates with the graduate school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key goals of STAG include probing new theoretical AI research directions, pursuing synergistic collaborative research, and teaching and advising students of the graduate school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expect the activities of STAG to strengthen the theoretical machine learning research of SNU.
Bayesian statistics (이재용), Stochastic process (서인석, 박형빈), Topological data analysis(국웅, Otto van Koert), Deep Learning (송현오), Natural language processing(정교민), Reinforcement learning and control(심형보, 양인순), Quantum information theory (이훈희), Optimization (류경석, 이재욱), Security and privacy (천정희, 현동훈)
천정희, 류경석 교수(수리과학부)가
이론 AI 연구센터에 대해 영상으로 설명합니다.
천정희(센터장) · 국웅 · 류경석 · 박형빈 · 서인석 · 송현오 · 심형보 · 양인순 · 이재용 · 이재욱 · 이훈희 · 정교민 · 현동훈 · Otto van Koert